[FASTCAMPUS]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UIUX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2회차 미션

문도하 2020. 11. 13. 22:43

 

 

 

Let's go! 

 


02. UX 디자인 리서치 및 서비스 기획

 

클립 18. 필드 리서치 - 05. 포커스그룹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 (FGI) 

  • 소수의 응답자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 과정에서 조사 목적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얻는데 사용
  • 참여자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많은 생각과 의견을 교환 
  • 그러나, 여러사람이 참여하는 과정이다보니, 전체적인 그룹의 의견에 의해 개개인의 의견이 편향되지 않도록 주의 필요

 


클립 19. 필드 리서치 - 06. Contextual Inquiry

Contextual Inquiry

  • 사용자의 공간 안에 들어가서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사용자의 숨겨진 니즈를 찾아낼 수 있음 
  • 사용자의 실제 맥락과 행동을 파악할 수 있고, 인터뷰 진행자에게 유리한 대답을 하는 등으ㅢ 인터뷰 기법의 단점이 보안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과 리소스가 많이 든다. 
  • 현장의 경험이 중요하거나 전문적이어서 인터뷰만으로는 맥락/행동을 파악하기 힘들 때 유용함

 

추가 조사 

 

Contextual inquiry is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context of use, where users are first asked a set of standard questions and then observed and questioned while they work in their own environments.

Because users are interviewed in their own environments, the analysis data is more realistic than laboratory data. Contextual inquiry is based on a set of principles that allow it to be molded to different situations. This technique is generally used at the beginning of the design process and is good for getting rich information about work practices, the social, technical, and physical environments, and user tools.

The four principles of contextual inquiry are:

  • Focus - Plan for the inquiry,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your purpose
  • Context - Go to the customer's workplace and watch them do their own work
  • Partnership - Talk to customers about their work and engage them in uncovering unarticulated aspects of work
  • Interpretation - Develop a shared understanding with the customer about the aspects of work that matter

The results of contextual inquiry can be used to define requirements, improve a process, learn what is important to users and customers, and just learn more about a new domain to inform future projects.

 


클립 20. 필드 리서치 - 07. 다이어리 스터디

Diary Study

 

  • 장기간 특정 행동이나 액티비티의 기록
  • 특정 행동을 사진으로 찍어 매일 기록하거나, 서비스를 사용했다면 스크린샷을 찍거나 특정 미션을 매일 수행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 사용자들의 습관, 행동의 패턴을 관찰
  • 인터뷰 또는 Contextual inquiry 후에 사용자들이 했던 말과 실제 다이어리 스터디를 통한 기록이 일치하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12회차 소감~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생각보다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https://bit.ly/32gSY1r